본문 바로가기

mit

미국 대학 입학 사정관이 이야기 하지 않는 내용 10가지!!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자신의 실력이 우선이겠습니다만 미국 대학 입학은 성적이 전부가 아니다! 라는 내용은 자녀를 대학에 보내보신 분들은 다들 이해를 하실 겁니다. 올 A에 대학 입학 시험인 SAT를 만점을 받아도 소위 말하는 하버드 대학에 낙방을 하는 경우가 있고 그보다 못한 학교 점수와 SAT 점수가 낮다고 하지만 하버드 대학을 무난하게 통과를 하는 학생들도 있기 마련입니다. 성적에 익숙하게 길들여진 한인 학생들이나 부모님들은 자신의 자녀가 이미 입학을 허가 받은 학생들보다 더 우수한데 왜? 우리 아이가 낙방을 해야 하느냐? 라고 분개를 하면서 서면으로 질의를 하거나 재심을 요구하는 경우가 왕왕 있으나 그런 재심이 합격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는 거의 없게 됩니다. 그만큼 미국의 대학 입학 사정은 .. 더보기
저소득 학생에게 돌아가야 할 학자금이!!! 필자가 과거 미국에서 공부를 하였을때 (아마 28년전 이었을 겁니다 ) 대학 시스탬에 탄복을 한 때가 있었습니다. 그당시 본인 자신이 당사자가 되어 나름 공부를 하면서 단편적으로 판단을 하게 되었으나 아이 셋을 낳고 싱글 인컴으로 아이 셋을 대학을 보내다 보니 보는 관점이 달라지면서 부모의 입장으로 미국 대학 시스탬을 이야기 하다보니 필자 자신이 학생 입장에서 본 내용과 판이하게 다른 내용으로 보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근래 많은 미국 대학생들이 졸업시 과중한 학자금 빚을 가지고 졸업을 한다 뭐한다 하면서 미국 대학 학자금 내용에 대해 부정적으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허나 누가 저에게 미국 대학의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 하라면 부정적인 내용보단 긍정적인 내용을.. 더보기
신분 상승의 수단!! 개천에서 용나기!! 어떻게 대학 입학 시험 볼때마다 한국의 날씨는 그렇게 추웠던지...... 안녕하세요??? 대니의 미국 목소리 방송입니다!! 한국에서는 이상하리만큼 대학 입학 시험 때만큼은 동장군이 기승을 부립니다. 지금도 그러는지 모르겠습니다. 시험이라는 대역사 때문에 긴장을 하는데 추위까지 마음을 얼어붙게 만듭니다. 저는 예비고사 세대 입니다. 그것이 학력 고사에서 지금의 수능으로 변하게 되었는데요...... 현재 한국의 조령모개식의 교육 정책을 잘 대변해 주는 그런 모습입니다!! 예비고사 세대들은 그래도 꿈이 있었습니다..... 아무리 집이 찢어지게 가난하더라도 본인이 열심히 하고 능력만 있다면 입신양명 할수있는 그런 제도적인 교육의 기회가 보장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쉽게 이야기 해서 개천에서 용이 날수잇는 .. 더보기
근래 드러난 하버드의 치부!! 그 학교를 입학한 학생을 다시 한번 보게 됩니다!! 인터넷이나 가끔 신문 지상에 올라오는 질문중엔 어떻게 하면 하버드에 입학을 할수있느가? 혹은 직설적으로 말해서 하버드에 입학을 할수있는 지름길은? 에 대해 올라오는 질문을 자주 보게 됩니다. 그런데 대답은 없습니다!! 입니다. 노력도 하지않고 지름길을 택해서 입학을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이글을 쓰는 필자도 그런 생각을 안해본거 아닙니다!! 대학을 가는 자녀가 잇는 부모라면 백이면 백!! 열이면 열!! 다 그럴겁니다. 그런데 대학을 어디로 어떻게 가느냐가 아니라, 대학을 가서 얼마나 아떻게 공부하느냐가 더 중요한거 같습니다..... 그것은 필자의 자녀가 대학을 가고 졸업을 눈앞에 둔 시점에 두 딸아이들이 어떻게 대학 생활을 했으며 어떻게 본인이.. 더보기
이런 전공은 비인기라 하던데!!! 학문의 가치를 인기가 있다!! 없다!! 로 판단을 하는 것은 무척 어리석은 일입니다!! 더우기 학문의 깊이를 화폐 가치로 판별을 하는 것은 더욱 더 어리석은 일입니다!! 순수 학문 가치의 중요성은 깊고 깊은 태평양 바닷속 깊이를 재는 것보다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이야기 하는 학자들 조차도 본인의 자녀가 대학 전공을 선택할때 가급적 본인이 선택한 순수 학문의 전공을 하지 않았으면 하는 속마음 이라는 내용의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 이미 대학을 선택한 많은 학생들이 어던 전공을 선택할지 몰라 undecided로 대학을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을 가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졸업후 가장 취직이 빨리되는 즉 사회에서 수요가 많은 전공이 무엇인지? 그리고 보수가 어떻게 되는지? 그러한 물질적인 반대.. 더보기